Changes that matter for tomorrow

내일의 긍정 에너지를 충전하세요. 다양한 경험의 흔적을 통해 내일의 변화를 함께합니다.

딴생각 백과 사전/사색

사색 vs 명상, 인문학적 사색의 중요성

아재로 2024. 4. 17. 15:42
300x250
반응형

사색과 명상의 차이점에 대해서 아시나요? 오늘은 사색과 명상의 사전적 의미로부터 사색과 명상의 근본적인 차이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면서 인문학적인 측면에서 우리 생활에서 사색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사색과-명상의-차이

 

[목차]

  • 사색과 명상의 차이점
  • 인문학적 사색의 의미
  • 마치며

 

 

#1. 사색과 명상의 차이점

 

사색과-명상

사색(思索)은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들여다보자면, 사물의 이치를 파고들어 깊게 생각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는 contemplation인데, 이는 라틴어 contemplationem '깊게 관찰하는 행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con이란 강조 접두사와 지금에 사원 즉 기도하고 기도하는 장소를 의미하는 temple이 조합된 단어입니다.

이에 비해, 명상(瞑想)은 눈을 감고 생각한다는 의미로, 주변의 시끄러움 없이 고요히 생각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로 meditation은 라틴어 meditationem '생각하다, 곰곰이 생각하다, 묵상하다'에서 유래하였습니다. 

결국, 사색과 명상은 다른듯 유사하면서도, 그 어원 속에서 살펴보면 또 같은 듯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명상이라하면 아무래도 종교적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기도하다는 의미를 갖곤 하는데, 이 역시 어원 속에서 살펴보면 그럴만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색은 논리의 탐구

하지만, 이 두 단어의 결정적 차이점은 사색은 논리적 사고에 중심을 두고 생각하는 행위인데 반해, 명상은 잡념을 버리고 하나의 생각을 깊이 있게 하는 사고 행위를 의미한다는 것입니다.

 

반응형

 

#2. 인문학적 사색의 의미

 

여기서 두 단어가 가진 의미에 대해 인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자면, 사색은 주로 내 주변의 현상에 대해 논리적인 인과를 따져 보다 객곽적인 이해를 통해 앞으로의 실천과제를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명상은 깊이 있게 생각하는 행위 자체를 통해 스스로의 깨달음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사색에 익숙해진다는 것은 인문학적 측면에서 현상에 대한 객관화에 익숙해질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또한 스스로의 자존감을 높이고 제대로된 자아를 확립할 수 있습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과학과 사회의 발전만큼이나 다양한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아이러니 속에 하루하루를 살고 있습니다. 다시 말해, 자칫 삶의 의미를 잊기도 매우 쉬우며, 그 속에서 확증편향과 맹목적 사고를 통해 특정 이념이나 잘못된 가치관에 갇히기도 합니다.

인간 삶의 근원적 목적은 '행복추구'라고 가정할 때, 함께 살아가는 인간 공동체에서 개인의 행복을 저해하고 개인과 개인간의 갈등을 증폭시키는 모든 가능성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노력이 바로 사색으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내 삶의 의미에 대한 사색을 생각해 보겠습니다. 난 행복하기 위해 하루하루를 살고 있고, 때문에 내가 살고 있는 오늘은 행복해야 한다. 그리고, 오늘의 행복을 위해 난 매일 아침에 일어나 가볍게 땀을 흘리며 운동을 한다. 혹은, 난 행복하기 위해 살고 있고, 때문에 내가 속해 있는 사회 공동체는 다양성과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자유와 다양성의 제도화를 위해 그 가치를 추구하는 정치집단의 집권을 원한다.

너무도 간단한 예이긴 하지만, 이러한 생각의 고리를 만들어내는 연습은 결국 세상의 이치를 바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나의 높은 자존감과 함께 행복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3. 마치며

 

사색과 명상의 차이를 이해하고, 사색의 인문학적 가치를 알아보았습니다. 사색의 중요함은 결국 나를 바로 세우고 세상의 이치와 인간 삶의 이치를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습관을 통해 인간의 존재목적인 '행복추구'를 완성하는 기초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공동체 내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며, 궁극적으로는 함께 잘 살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다 함께 사색에 대해 한번쯤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였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